• 종소세 신고방법 대상 세율 가산세
    2022. 5. 5. 14:05

    5월은 가정의 달이면서 종소세 신고의 달 입니다. 직장인 분들은 회사에서 연말정산으로 세금을 처리하지만 프리랜서나 사업자 분들은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게 됩니다. 국민의 3대 의무 중 납세의무 중 하나에 해당이 되는 종소세를 통한 납부된 세금들로 인해 국가가 운영되고 우리가 받는 복지 혜택 또한 국민들이 낸 세금을 통해서 운영 됩니다. 오늘은 종소세 신고방법 및 신고대상에 대해서 안내해드리니 보시고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종소세 신고방법 대상 세율 가산세

    종소세 신고대상인 경우

     

    매년 51일 부터 31일 사이에 실시되는 종소세 신고 납부는 개인 사업자, 프리랜서 등 개인을 대상으로 실시 됩니다. 연령과 성별에 상관 없이 한 개인의 소득을 기준으로 신고를 하게 되며 직장에 다니며 연말정산을 진행한 분들도 아르바이트, 임대소득, 기타 소득 등으로 추가 소득이 발생한 경우라면 해당 기간 안에 신고를 해야되는 종소세 신고대상에 해당 됩니다.

     

    종소세 신고대상인 경우

    종소세 신고대상이 아닌 경우

     

    근로소득만 있는 자로써 연말정산을 한경우, 퇴직소득과 연말정산 대상 사업소득만 있는 경우, 비과세 도는 분리과세 되는 소득만 있는 경우, 300만원 이하인 기타소득이 있는 자로써 분리과세를 하려고하는 경우 등이 해당 됩니다.

     

    종소세 신고대상이 아닌 경우

    종소세 세율

     

    2021년 귀속 종합소득세 세율은 다음과 같습니다. 이때 세율 적용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과세표준 x 세율 - 누진공제 = 납부할 세금)

     

    종소세 세율

    종소세 신고방법

     

    홈택스, 모바일 손택스, 세무대리인, 서면신고 등을 통해서 신고가 가능하며 납부는 홈택스 전자 납부, 카드 로택스, 인터넷 지로, 은행 등을 통한 방문 납부 등으로 가능합니다.

     

    국세청 홈택스

     

    www.hometax.go.kr

    종소세 신고방법

    종소세 가산세

     

    종합소득세 신고 대상자 임에도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에는 다음과 같은 불이익이 있을 수 있습니다.

    * 각종 세액 공제 및 감면 불가

    * 많은 가산세 부담

     

    종소세 가산세

     

    여기까지 종소세 신고방법 및 대상, 세율, 가산세 등에 대해서 간략하게 소개해드렸습니다. 해당이 되는 분들은 신고 방법이나 세율 등을 알아보시고 기간내로 납부하시길 바랍니다. 개인적인 사정이 있어도 신고를 하지 않는 경우 가산세가 발생 할 수 있기에 꼭 기간 내로 납부하는 것이 바람직 하겠습니다.

Designed by Tistory.